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어차피 내 집은 없다”… 물량 급증한 청약에도 기쁘지 않은 이유

박신영 기자 조회수  

7월 청약 분양 물량 급증
중산층 청약 당첨률 ↓
실용성 높은 소득분위 측정 필요

“어차피 못 사요”... 물량 급증한 청약에도 기쁘지 않은 현실 이유
출처 : 셔터스톡

오는 7월 전국 53개 단지에서 4만 6,000여 가구가 공급된다. 이는 이달 대비 91%가 증가한 것이다. 이 중 2만 9,000여 가구가 일반 물량으로 풀리며 수도권은 1만 1,800여 가구로 41% 차지했다. 이어 지방은 1만 7,000여 가구로 59%에 해당한다. 특히 지난 6월 이루어진 대통령 선거 등으로 분양 일정을 잡지 못했던 물량이 하반기에 풀리며 역대급 물량을 기록하게 되었다.

청약 자체는 활기를 띨 예정이지만 시민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이는 현실적으로 내 집 마련의 기회로 보기 어렵다는 이유다. 중위소득 75~200% 이상 가구는 청약 자격 자체가 박탈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어차피 못 사요”... 물량 급증한 청약에도 기쁘지 않은 현실 이유
출처 : 셔터스톡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중위소득 75~200%’ 인구 비중은 2013년 54.9%에서 2023년 59.3%로, 10년 사이 4.4%나 확대되었다. 하지만 자신을 중산층으로 여기는, 이른바 ‘체감 중산층’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NH투자증권이 발간한 ‘중산층 보고서’와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3년 월 가구 소득 400~500만 원 계층 가운데 본인을 중산층으로 인식한 비율은 80%에 육박했지만, 2023년 기준 70% 아래로 떨어졌다.

“어차피 못 사요”... 물량 급증한 청약에도 기쁘지 않은 현실 이유
출처 : 셔터스톡

지난 4월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의 2023 중산층 관련 인식 조사에 따르면 ‘앞으로 우리 사회의 빈부격차는 더욱 더 커질 것 같다’ 라고 대답한 비율이 73.8%에 육박해 현 한국사회에서 계층 이동에 대한 믿음은 모두 낮은 상태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중산층의 규모에 주목할 것이 아니라 중산층의 현 상황에 대한 정책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저소득층이 받는 혜택과 지원은 받지 못하면서 주거와 고용에 대한 불안을 겪고 있는 취약 중산층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어차피 못 사요”... 물량 급증한 청약에도 기쁘지 않은 현실 이유
출처 : 셔터스톡

아파트 분양을 위한 소득 산정은 현재 무주택 가구 구성원의 소득수준에 대해 국민건강보험을 통해 개인의 평균 보수월액을 확인한 후 산정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런 소득 중심 부과 체계가 개편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 출범한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해 온 ‘모든 국민의 기본적 삶의 조건이 보장되는 나라’를 실현할 주택 정책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무주택자가 부담이 가능한 주택을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주택 공급을 늘리고 공공임대를 확대해 집값을 안정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어차피 못 사요”... 물량 급증한 청약에도 기쁘지 않은 현실 이유
출처 : 셔터스톡

다만, 이재명 정부가 지난 28일부터 시행한 ‘주택담보대출 최대한도 제한’이 등장하며 이목이 쏠린다. 이는 총액 한도가 없던 주택담보대출의 최대한도를 6억 원 이하로 제한된다는 규제다. 이재명 정부는 수도권에서의 고가주택 구매에 대해 과도한 대출을 받는 것을 조절하기 위해 해당 정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해당 정책을 두고 고소득자여도 현금이 없으면 집을 구매할 수 없는 구조를 만들어 중산층과 저소득층에게 부동산 접근성이 더욱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파트 가격 상승 억제 중심에서 이재명 정부의 행보가 중산층에게 국한된 청약 불평등 갈등을 해소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 기사

author-img
박신영 기자
psy@epigraph.co.kr

댓글0

300

댓글0

[이코노미] 랭킹 뉴스

  •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 “삼성전자의 추락” SK하이닉스 무서운 질주에 ‘싹’ 돌변한 현실 이유
    “삼성전자의 추락” SK하이닉스 무서운 질주에 ‘싹’ 돌변한 현실 이유
  •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 “사먹기 부담스러워요” 직장인 평균 점심값 1위라는 ‘이 동네’
    “사먹기 부담스러워요” 직장인 평균 점심값 1위라는 ‘이 동네’
  • "대기업만큼 벌어" 요즘 인기 폭등하고 있다는 직업 정체
    "대기업만큼 벌어" 요즘 인기 폭등하고 있다는 직업 정체
  • “서울은 잘만 오르는데...” 미분양 폭탄에 곡소리 나는 ‘이 지역’
    “서울은 잘만 오르는데...” 미분양 폭탄에 곡소리 나는 ‘이 지역’

추천뉴스

  • 1
    "문화 강국 되려면..." 정권 바뀌고 '문화예술업계' 분위기가 좋아진 이유

    기획특집 

    "문화 강국 되려면..." 정권 바뀌고 '문화예술업계' 분위기가 좋아진 이유
  • 2
    “업계 1위” 세계 최대 사모펀드에 매각된다는 의외의 국내 브랜드

    기획특집 

    “업계 1위” 세계 최대 사모펀드에 매각된다는 의외의 국내 브랜드
  • 3
    “그냥 포기할게요”... 취업률 올라도 한숨 쉬는 청년들, 왜?

    기획특집 

    “그냥 포기할게요”... 취업률 올라도 한숨 쉬는 청년들, 왜?
  • 4
    "모두가 외면했는데"...한 세기 동안 일반인 출입이 금지된 섬 근황

    이슈플러스 

    "교황도 방문했다"…100년의 아픈 역사 간직한 섬
  • 5
    "소비 쿠폰 받아서 여기?" 직장인들의 선호 여행지, 어디냐면...

    라이프 

    "소비 쿠폰 받아서 여기?" 직장인들의 선호 여행지, 어디냐면...

지금 뜨는 뉴스

  • 1
    "무조건 투자하세요" 전문가들이 가격 폭등 예고한 '이것', 무엇일까?

    라이프 

  • 2
    “노키즈존 아니죠” 노인 기피 현상 점점 더 심각해지는 한국 상황

    기획특집 

  • 3
    ‘알짜’ 상권 포기한 롯데백화점...업계도 예상 못 한 놀라운 결단, 이유가?

    이슈플러스 

  • 4
    "대출도 안돼" 서민들은 '서울 아파트' 매매 불가능해졌다, 이유 살펴보니...

    이슈플러스 

  • 5
    “이사갈래요”...귀농·귀촌 인기 폭등에 이재명 정부가 내놓은 대책

    기획특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