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100만 명 돌파” 내수 경기 부진에 자영업자 상황, 심상치 않다

박신영 기자 조회수  

폐업자, 100만 명 돌파해
사업 부진 영향 미쳐
정부, 30조 추경 투입

출처 : 셔터스톡

극심한 내수 경기 부진으로 인해 많은 자영업자가 폐업 결정을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들은 1995년 통계가 시작된 후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내수 침체가 장기화하자 사업 부진을 면치 못한 자영업자들이 어쩔 수 없는 결단을 내린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6일 국세청의 국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을 신고한 사업자는 100만 8,282명에 달했다. 이는 개인·법인 사업자를 모두 포함한 수치로, 98만 6,487명이었던 전년 대비 2만 1,795명 상승한 것이다.

전체 사업자 수 대비 폐업자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폐업률도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사업자들의 폐업률은 전년(9.02%) 대비 0.02% 오른 9.04%를 기록했다.

출처 : 셔터스톡

자영업자들이 폐업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사업 부진’이 꼽혔다. 사업자들의 50.2%가 해당 사유로 폐업했으며 이는 50만 6,198명에 달했다. 해당 수치는 전년 대비 2만 4,000명 상승한 수치로, 처음 50만 명을 돌파한 것이다.

이어서 기타 (44만 9,240명), 양도·양수(4만 123명), 법인 전환(4,471명), 행정처분(3,998명), 해산·합병(2,829명), 계절 사업(1,089명) 등이 차지했다. 특히 경기 변동에 민감한 업종들의 폐업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00만 명 돌파" 내수 경기 부진에 자영업자 상황, 심상치 않다
출처 : 패션그룹형지 제공

절반에 가까운 폐업자들이 소매업과 음식점 업종이었으며 소매업자는 29만 9,642명을 차지했다. 이는 전체의 29.7%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어 음식점업(15.2%), 부동산업(11.1%) 순으로 많았다. 최근 정부가 내수경기 회복을 위한 추경을 편성하면서 일각에서는 매출 상승에 기대감을 보이기도 했다.

출처 : 셔터스톡

일례로 종합패션 유통업계인 ‘패션그룹형지’는 정부의 추경에 따라 매출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지난 코로나19 재난 지원금 지급 당시 패션그룹형지의 매출은 상승세를 보였다. 2020년 5월 이들의 매출은 1차 재난 지원금 지급 전월 대비 90% 상승했으며, 2차 재난 지원금 지급 후에는 매출이 80% 올랐다.

한편, 정부는 1차, 2차에 나눠 총 30조 원에 달하는 추경을 편성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 4월 편성된 1차 추경은 12조 2,000억 원에 달했으며 최근 확정된 2차 추경은 20조 원 규모에 이른다. 이에 따라 이달 21일부터 신청할 수 있는 민생 회복 소비 쿠폰(민생 회복 지원금)이 전 국민에게 지급된다.

출처 : 셔터스톡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편성된 추경인 만큼 연 매출 30억 이하 매장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신청은 이달 21일 오전 9시~ 9월 12일 오후 6시까지이며,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중 한 가지 방식으로 지급받을 수 있다.

다만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백화점, 유흥업종, 환금성 업종 등 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다. 장기화한 내수 침체로 자영업자들의 폐업이 사상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선 가운데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민생 소비 쿠폰 지급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 기사

author-img
박신영 기자
psy@epigraph.co.kr

댓글0

300

댓글0

[라이프] 랭킹 뉴스

  • "한전이 요금 깎아준다고?" 모르면 손해인 여름 전기세 절약 꿀팁
  • "소비 쿠폰 받아서 여기?" 직장인들의 선호 여행지, 어디냐면...
    "소비 쿠폰 받아서 여기?" 직장인들의 선호 여행지, 어디냐면...
  • "무조건 투자하세요" 전문가들이 가격 폭등 예고한 '이것', 무엇일까?
    "무조건 투자하세요" 전문가들이 가격 폭등 예고한 '이것', 무엇일까?
  • 단순히 오래 걷지 말고... '이것' 해보세요 허리 얇아집니다
    "전 연령에 좋아" 헬스인들도 놓을 수 없는 소울 푸드, 바로…
  • “가능하면 피하라더니” 전 국민이 속았다는 암 유발 음식의 실체
    “가능하면 피하라더니” 전 국민이 속았다는 암 유발 음식의 실체
  • "오사카, 도쿄보다 '여기'"…한국인이 가장 사랑한 해외 도시
    "오사카, 도쿄보다 '여기'"…한국인이 가장 사랑한 해외 도시

추천뉴스

  • 1
    이만큼이나 벌었다고? ‘억’ 소리 나는 ‘이곳’ 어디길래

    기획특집 

    이만큼이나 벌었다고? ‘억’ 소리 나는 ‘이곳’ 어디길래
  • 2
    "433건 달해"... 외국인 아파트 불법 거래에 정부, 이런 반응 보였다

    기획특집 

  • 3
    "아들 때문에"...'정치 엘리트'로 불리던 5선 국회의원 근황

    이슈플러스 

    "아들 때문에"...'정치 엘리트'로 불리던 5선 국회의원 근황
  • 4
    "최고 통치자의 동반자"...대통령 옆에 항상 존재했던 '사람들', 누구일까?

    기획특집 

    "최고 통치자의 동반자"...대통령 옆에 항상 존재하는 이들
  • 5
    "올해만 300% 올랐다" K-방산 역사 새로쓴 기업, 어디냐면…

    기획특집 

    "올해만 300% 올랐다" K-방산 역사 새로쓴 기업, 어디냐면…

지금 뜨는 뉴스

  • 1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이코노미 

  • 2
    “삼성전자의 추락” SK하이닉스 무서운 질주에 ‘싹’ 돌변한 현실 이유

    이코노미 

  • 3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이코노미 

  • 4
    '국격 떨어져' APEC 열리는 국내 1호 관광단지, 심각합니다

    이슈플러스 

  • 5
    "문화 강국 되려면..." 정권 바뀌고 '문화예술업계' 분위기가 좋아진 이유

    기획특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