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신의 직장’ 쌍두마차로 불리는 현대차·기아, 연봉 어디가 높냐면…

이시현 기자 조회수  

현대차 1억 2,500만 원 수준
기아 평균 1억 3,600만 원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경신

출처 : 현대차 제공

매년 채용시장에서 구인 공고가 올라오면 화제가 되는 기업이 있다. 이는 국내 최고 수준의 복리후생 제도를 갖춰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현대차와 기아다.

최근 현대차가 자동차 생산직과 이공계 기술 인력 채용을 공고하면서 취업 준비생들의 이목이 이들의 연봉 수준에 쏠린다. 신의 직장 쌍두마차로 불리는 두 기업의 연봉은 어떨까?

‘신의 직장’ 쌍두마차로 불리는 현대차·기아, 연봉 어디가 높냐면...
출처 : 현대차 노조 제공

지난 3일 현대차·기아가 발간한 2025년 지속가능성 보고서에 따르면 양사 모두 지난해 임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웃돈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양사의 임직원 평균 연봉은 수년간 꾸준히 1억 원을 넘기고 있다. 그러나 보상 방식과 구성, 성별 격차에서는 차이가 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임직원 및 남성 경영진 평균 연봉 등 대체로 기아가 현대차를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여성 경영진 연봉은 현대차가 기아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현대차 전체 임직원의 지난해 평균 총급여는 남성 1억 2,500만 원, 여성 1억 1,200만 원 수준이다.

‘신의 직장’ 쌍두마차로 불리는 현대차·기아, 연봉 어디가 높냐면...
출처 : 현대차 제공

이러한 결과는 기본급과 성과급을 모두 포함한 연간 총액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어 기아의 전체 임직원 평균 연봉은 1억 3,6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1억 1,200만 원, 2023년 1억 2,700만 원에 이어 3년 연속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기아와 현대차는 경영진 보상에서도 격차를 보였다.

현대차 남성 경영진의 기본급은 3억 6,400만 원, 총급여는 4억 6,300만 원 수준으로 확인됐다. 또한, 기아 남성 경영진의 평균 기본급은 3억 7,400만 원, 총급여는 5억 1,100만 원으로 알려졌다.

이에 반해 여성 경영진의 경우 현대차가 급여와 상여를 포함한 평균 총급여가 4억 9,6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아 여성 경영진 평균 총급여 4억 4,800만 원 대비 4,800만 원 더 많은 수준이다. 실제로 직원들의 평균 연봉 역시 약간의 차이가 존재했다.

‘신의 직장’ 쌍두마차로 불리는 현대차·기아, 연봉 어디가 높냐면...
출처 : 현대차 제공

현대차와 기아가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것은 단연 높은 연봉 뿐만의 영향이 아니다. 현대차의 경우 퇴사 직원에게도 차량 구매 시 할인을 제공하는 ‘평생 할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연령 제한 없이 25년 이상 근무한 퇴직자(75세까지)에게 차량 구매 시 2년마다 30%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어 불경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년이 보장된다는 점도 매력으로 작용한다. 기아의 경우 만 60세까지 정년을 보장하고 있으며 정년퇴직자 재고용(계약직) 기간도 최대 2년을 보장한다.

한편, 억대 연봉과 함께 정년 보장으로 취준생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는 두 기업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차는 175조 2,312억 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영업이익은 14조 2,396억 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5.9% 감소했다.

‘신의 직장’ 쌍두마차로 불리는 현대차·기아, 연봉 어디가 높냐면...
출처 : 현대차 제공

이어 기아는 지난해 107조 4,488억 원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의 경우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9.1% 증가하고 사상 첫 100조 원대 매출 달성, 역대 최다 판매 등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기도 했다.

다만, 사측은 이 같은 최대 실적에도 불구하고 웃을 수만은 없다는 입장이다. 이는 현대차와 기아의 노동조합 측이 지난해 기록한 역대 실적을 필두로 고강도 요구안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향후 현대차와 기아의 노사 교섭이 어떠한 결과를 도출해 낼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 기사

author-img
이시현 기자
lsh@epigraph.co.kr

댓글0

300

댓글0

[이슈플러스] 랭킹 뉴스

  • “안하면 망해요”... 기업들 너도나도 한다는 ‘경영전략’ 뭐길래?
    “안 하면 망해요”... 기업들 너도나도 한다는 ‘경영전략’ 뭐길래?
  • "아들 때문에"...'정치 엘리트'로 불리던 5선 국회의원 근황
    "아들 때문에"...'정치 엘리트'로 불리던 5선 국회의원 근황
  • '국격 떨어져' APEC 열리는 국내 1호 관광단지, 심각합니다
    '국격 떨어져' APEC 열리는 국내 1호 관광단지, 심각합니다
  • "교황도 방문했다"…100년의 아픈 역사 간직한 섬
    "모두가 외면했는데"...한 세기 동안 일반인 출입이 금지된 섬 근황
  • ‘알짜’ 상권 포기한 롯데백화점...업계도 예상 못 한 놀라운 결단, 이유가?
    ‘알짜’ 상권 포기한 롯데백화점...업계도 예상 못 한 놀라운 결단, 이유가?
  • "대출도 안돼" 서민들은 '서울 아파트' 매매 불가능해졌다, 이유 살펴보니...
    "대출도 안돼" 서민들은 '서울 아파트' 매매 불가능해졌다, 이유 살펴보니...

추천뉴스

  • 1
    "최고 통치자의 동반자"...대통령 옆에 항상 존재했던 '사람들', 누구일까?

    기획특집 

    "최고 통치자의 동반자"...대통령 옆에 항상 존재하는 이들
  • 2
    "올해만 300% 올랐다" K-방산 역사 새로쓴 기업, 어디냐면…

    기획특집 

    "올해만 300% 올랐다" K-방산 역사 새로쓴 기업, 어디냐면…
  • 3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이코노미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 4
    “삼성전자의 추락” SK하이닉스 무서운 질주에 ‘싹’ 돌변한 현실 이유

    이코노미 

    “삼성전자의 추락” SK하이닉스 무서운 질주에 ‘싹’ 돌변한 현실 이유
  • 5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이코노미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지금 뜨는 뉴스

  • 1
    "문화 강국 되려면..." 정권 바뀌고 '문화예술업계' 분위기가 좋아진 이유

    기획특집 

  • 2
    “사먹기 부담스러워요” 직장인 평균 점심값 1위라는 ‘이 동네’

    이코노미 

  • 3
    “업계 1위” 세계 최대 사모펀드에 매각된다는 의외의 국내 브랜드

    기획특집 

  • 4
    “그냥 포기할게요”... 취업률 올라도 한숨 쉬는 청년들, 왜?

    기획특집 

  • 5
    "소비 쿠폰 받아서 여기?" 직장인들의 선호 여행지, 어디냐면...

    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