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남들은 잘 나가는데…” 한때 국민주로 불렸던 종목, 지금은?

이시현 기자 조회수  

2분기 영업이익 ‘반토막‘ 수준
3분기 증권가 전망 엇갈려
삼성전자 코스피 비중 최저치

“남들은 잘 나가는데...” 한때 국민주로 불렸던 종목, 지금은?
출처 : 셔터스톡

한때 국내 증시의 대장주 평가를 받으며 국민주로 불렸던 삼성전자가 때아닌 위기를 맞았다. 이는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주목을 받는 SK하이닉스와 달리 낮은 성적표를 받아들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4~6월) 실적이 시장의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상 여파에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반도체 판매 부진 등이 이어진 영향으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예상하지 못했던 반도체 관련 대규모 충당금 이슈까지 겹악재로 작용하면서 지난 2023년 4분기(9~12월) 이후 1년 6개월 만에 분기별 영업이익 5조 원 벽이 깨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일 삼성전자는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올 2분기 매출 74조 원, 영업이익 4조 6,000억 원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이 0.1%, 영업이익이 55.9% 줄어든 결과다.

문제는 영업이익이다. 삼성전자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였던 6조 3,000억 원을 크게 밑도는 부진한 기록을 받았다. 이번 영업이익은 지난 2023년 4분기(2조 8,200억 원) 이후 6분기 만에 분기별 최저치를 찍은 것으로 알려지며 화제의 중심에 섰다.

“남들은 잘 나가는데...” 한때 국민주로 불렸던 종목, 지금은?
출처 : 셔터스톡

삼성전자의 실적이 크게 하락한 것을 두고 증권업계에서는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의 실적 부진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증권사가 DS 부문의 2분기 영업이익이 1조 원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고 추정한 바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는 AMD나 브로드컴에 HBM3E를 공급하면서 반도체 부문에서 성과를 내기도 했으나, HBM 최대 고객사인 엔비디아에 대한 납품이 지연되면서 매출에 타격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낸드플래시가 지난해 하반기(7~12월)부터 스마트폰이나 PC 등 전방 산업 부진 등으로 인해 실적이 둔화했다는 점에서 낮은 실적을 면치 못한 것으로 보인다.

“남들은 잘 나가는데...” 한때 국민주로 불렸던 종목, 지금은?
출처 : 뉴스 1

아울러 지난 1분기에 2조 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던 시스템LSI 사업부와 파운드리 사업부가 이어진 적자를 면치 못하면서 반도체 관련 실적을 끌어내린 것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삼성전자가 대규모 반도체 관련 재고충당금을 쌓았다는 점 역시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측은 “메모리 사업은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과 같은 일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다”라며 “비메모리 사업도 첨단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로 판매 제약 및 관련 재고 충당이 생겼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측은 “개선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은 고객별로 평가 및 출하가 진행 중”이라며 “하반기는 점진적 수요 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으로 적자 축소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남들은 잘 나가는데...” 한때 국민주로 불렸던 종목, 지금은?
출처 : 뉴스 1

삼성전자가 2분기 시장의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내놓은 가운데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을 둘러싼 증권가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이는 대규모 재고를 털어낸 삼성전자가 반도체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실적 회복세를 보일 수 있다는 의견과 엔비디아로의 HBM 납품 불확실성과 이어진 미국의 관세 여파에 실적 부진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하는 것이다.

한편, 삼성전자의 실적이 악화함에 따라 지난달 삼성전자의 코스피 시가총액 비중 역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9년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코스피가 3,000선을 돌파하며 질주한 것과는 다른 모양새다.

“남들은 잘 나가는데...” 한때 국민주로 불렸던 종목, 지금은?
출처 : 뉴스 1

지난 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유가증권시장 내 삼성전자 보통주의 시가총액 비중은 14.53%로 나타났다. 여기에 우선주와 합산할 경우 시총 비중이 16.17%까지 늘어나게 된다. 삼성전자의 시총 비중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보통주 기준으로는 지난 2016년 3월 기록한 14.53%, 우선주와 합계 기준으로는 지난 2016년 2월 기록한 15.83% 이후 최저치로 확인됐다.

당초 삼성전자는 우선주 합계 기준 20% 이상의 시총 비중을 유지해 왔다. 다만, 지난해 10월 20% 선 아래도 떨어진 뒤 지난달에는 16%대까지 주저앉으며 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부문의 실적 하락을 이겨내고 향후 코스피 대장주로 불리던 위상을 다시 거머쥘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 기사

author-img
이시현 기자
lsh@epigraph.co.kr

댓글0

300

댓글0

[이코노미] 랭킹 뉴스

  • "블랙핑크, 지드래곤도 방문" 만년 적자에서 공연 성지된 '이곳'
    "블랙핑크, 지드래곤도 방문" 만년 적자에서 공연 성지된 '이곳'
  • "이유는 몰라도 마음에 든다"...일론 머스크가 집착하는 것의 정체
    "이유는 몰라도 마음에 든다"...일론 머스크가 집착하는 것의 정체
  • "또 역대 최고가 찍었다" 미국인들도 인정한 '이 기업' 어디냐면...
    "또 역대 최고가 찍었다" 미국인들도 인정한 '이 기업' 어디냐면...
  • “뿌리는 데만 550억 든다” 소비쿠폰 ‘혈세 낭비’ 지적 나온 이유
    “뿌리는 데만 550억 든다” 소비쿠폰 ‘혈세 낭비’ 지적 나온 이유
  • "머스크가 또..." 창당 선언에 테슬라 상황 심각합니다
    "머스크가 또..." 창당 선언에 테슬라 상황 심각합니다
  • 1억만 있으면 사장 될 수 있다는 '청년 창업', 실제로는 이렇습니다
    1억만 있으면 사장 될 수 있다는 '청년 창업', 실제로는 이렇습니다

추천뉴스

  • 1
    '성장호르몬 주사'를 예방접종처럼 맞는다는 청소년들, 상황 심각합니다

    기획특집 

    '성장호르몬 주사'를 예방접종처럼 맞는다는 청소년들, 상황 심각합니다
  • 2
    “이거 내 그림인데?”… 심각하다는 AI 창작물 저작권 상황

    기획특집 

    “이거 내 그림인데?”...심각하다는 AI 창작물 저작권 상황
  • 3
    초고령화 사회 돌입했다는 대한민국, 대기업은 이렇게 대응 중입니다

    라이프 

    초고령화 사회 돌입했다는 대한민국, 대기업은 이렇게 대응 중입니다
  • 4
    "천만명 사망할 수 있다고?"...기업들이 미래 식량 발굴하려는 이유

    이슈플러스 

    "천만명 사망할 수 있다고?"...기업들이 미래 식량 발굴하려는 이유
  • 5
    "폭염 장난 아닌데..." AI로 건설 현장 근로자 관리하겠다는 기업

    기획특집 

    "폭염 장난 아닌데..." AI로 건설 현장 근로자 관리하겠다는 기업

지금 뜨는 뉴스

  • 1
    ‘해충 vs 익충’ 논란…러브버그, 서울 시민 86%가 이렇게 답했다

    라이프 

  • 2
    “카푸어는 옛말이죠” MZ세대 신차 손절한 이유, 딱 밝혀졌다

    기획특집 

  • 3
    "싼 맛에 먹는 건데…" 가격 인상 발표한 소주, 업계 상황은 이렇습니다

    이슈플러스 

  • 4
    대출 규제에 688대 1 경쟁률 보였다는 아파트, 어디냐면...

    기획특집 

  • 5
    야구 유니폼까지 만들어진다는 대전 성심당, 매출 이 정도입니다

    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