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심각합니다” 한때 국민 자격증으로 불렸던 직업의 최후

이시현 기자 조회수  

공인중개사 인기 감소
개업 유지 중개사 최저치
6·27 대출 규제로 악화 우려

출처 : 뉴스 1

한때 ‘국민 자격증’으로 불리던 공인중개사 인기가 식고 있어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이는 부동산 시장의 불황이 장기적으로 이어지면서 사무실을 유지 중인 공인중개사가 4년 5개월 만에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다만, 지난 5월 서울에서 문을 닫은 공인중개사무소는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회복의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심각합니다” 한때 국민 자격증으로 불렸던 직업의 최후
출처 : 뉴스 1

지난 3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사무실을 운영 중인 공인중개사(이하 개업 공인중개사)는 11만 1,12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 기록했던 11만 4,068명 대비 2,945명 줄어든 결과다.

더하여 지난 4월 기록했던 11만 1,440명과 비교하면 0.3%(317명) 하락했다. 이처럼 개업 공인중개사는 전국적으로 부동산이 불황에 접어든 지난 2023년 2월을 기점으로 매월 줄어드는 추세다. 실제로 월별 기준으로는 지난 2020년 12월 이후 4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당시 개업 공인중개사는 11만 946명을 기록했다. 더하여 지난 4월 기준으로 국내 공인중개사 자격증 보유자가 55만 1,879명인 점을 감안했을 때 자격증 보유자 5명 중 1명만 현업에 활동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공인중개사무소의 휴폐업 역시 줄어들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972명)을 제외하고는 2월부터 5월까지 매월 1,000명 넘게 휴업하거나 폐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각합니다” 한때 국민 자격증으로 불렸던 직업의 최후
출처 : 뉴스 1

이러한 기조는 자격증 시험 지원자 수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지난해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원서를 낸 지원자는 15만 4,699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15만 1,363명) 이후 9년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전년인 2023년과 비교했을 때는 4만 5,000여 명이 줄었다.

또한, 2017년(20만 5,197명) 이후 응시자 수가 처음으로 2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알려져 업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이처럼 한때 국민 자격증으로 불릴 정도로 인기가 높았던 공인중개사의 업황이 좋지 않은 것을 두고 전문가들은 “전국 집값과 거래량이 하락한 2022년 이후 부동산 시장과 동반 침체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심각합니다” 한때 국민 자격증으로 불렸던 직업의 최후
출처 : 뉴스 1

지난 2022년 전국 집값과 거래량이 하락한 부동산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여파와 내수 부진, 고금리 기조, 대출 규제 강화 등의 요인이 맞물리며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최근 출범한 이재명 정부가 6·27 대출 규제까지 내놓으면서 당분간 공인중개업계의 가라앉은 분위기는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공인중개업종의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유의미한 수치가 등장해 이목이 쏠린다. 지난달 25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올해 5월 서울 공인중개사무소 중 휴·폐업한 곳은 총 240곳으로 전월(272곳) 대비 약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합니다” 한때 국민 자격증으로 불렸던 직업의 최후
출처 : 뉴스 1

특히 서울 공인중개사무소 중 휴·폐업한 곳은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여 향후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마저 제기되고 있다.

이를 전국으로 확대해 분석할 경우에도 문을 닫은 공인중개사무소는 줄어드는 추세다. 매월 1,000명 이상의 공인중개사가 휴폐업을 결정하고 있으나 지난 3월 기록했던 1,135곳 대비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공인중개업계 시장의 회복을 기대하는 모양새다. 이에 대해 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향후 정부가 발표하는 공급·부동산 정책에 따라 하반기 공인 중개 시장의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히며 시장을 면밀히 주시하겠다고 전했다.

//php echo do_shortcode('[yarpp]'); ?>

관련 기사

author-img
이시현 기자
lsh@epigraph.co.kr

댓글0

300

댓글0

[이슈플러스] 랭킹 뉴스

  • ‘신의 직장’ 쌍두마차로 불리는 현대차·기아, 연봉 어디가 높냐면...
    ‘신의 직장’ 쌍두마차로 불리는 현대차·기아, 연봉 어디가 높냐면...
  • “안하면 망해요”... 기업들 너도나도 한다는 ‘경영전략’ 뭐길래?
    “안 하면 망해요”... 기업들 너도나도 한다는 ‘경영전략’ 뭐길래?
  • "아들 때문에"...'정치 엘리트'로 불리던 5선 국회의원 근황
    "아들 때문에"...'정치 엘리트'로 불리던 5선 국회의원 근황
  • '국격 떨어져' APEC 열리는 국내 1호 관광단지, 심각합니다
    '국격 떨어져' APEC 열리는 국내 1호 관광단지, 심각합니다
  • "교황도 방문했다"…100년의 아픈 역사 간직한 섬
    "모두가 외면했는데"...한 세기 동안 일반인 출입이 금지된 섬 근황
  • ‘알짜’ 상권 포기한 롯데백화점...업계도 예상 못 한 놀라운 결단, 이유가?
    ‘알짜’ 상권 포기한 롯데백화점...업계도 예상 못 한 놀라운 결단, 이유가?

추천뉴스

  • 1
    "최고 통치자의 동반자"...대통령 옆에 항상 존재했던 '사람들', 누구일까?

    기획특집 

    "최고 통치자의 동반자"...대통령 옆에 항상 존재하는 이들
  • 2
    "올해만 300% 올랐다" K-방산 역사 새로쓴 기업, 어디냐면…

    기획특집 

    "올해만 300% 올랐다" K-방산 역사 새로쓴 기업, 어디냐면…
  • 3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이코노미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 4
    “삼성전자의 추락” SK하이닉스 무서운 질주에 ‘싹’ 돌변한 현실 이유

    이코노미 

    “삼성전자의 추락” SK하이닉스 무서운 질주에 ‘싹’ 돌변한 현실 이유
  • 5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이코노미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지금 뜨는 뉴스

  • 1
    "문화 강국 되려면..." 정권 바뀌고 '문화예술업계' 분위기가 좋아진 이유

    기획특집 

  • 2
    “사먹기 부담스러워요” 직장인 평균 점심값 1위라는 ‘이 동네’

    이코노미 

  • 3
    “업계 1위” 세계 최대 사모펀드에 매각된다는 의외의 국내 브랜드

    기획특집 

  • 4
    “그냥 포기할게요”... 취업률 올라도 한숨 쉬는 청년들, 왜?

    기획특집 

  • 5
    "소비 쿠폰 받아서 여기?" 직장인들의 선호 여행지, 어디냐면...

    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