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사먹기 부담스러워요” 직장인 평균 점심값 1위라는 ‘이 동네’

이시현 기자 조회수  

수도권 직장인 평균 점심값
삼성동 1만 5,000원 ‘1위’
구내식당 ‘복지’ 경향 증가

출처 : 뉴스 1

최근 고금리·고물가 등의 여파로 소비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직장인들의 부담이 늘고 있는 상황으로 확인됐다. 이는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점심 한 끼를 사 먹기에도 부담을 느끼는, 이른바 ‘런치 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점심값 상승)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2일 NHN페이코가 자사의 ‘모바일 식권 서비스’로 발생한 약 900만 건의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직장인 평균 점심값이 1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최근 8년 사이 평균 지출 점심 식비가 58% 상승해 직장인들의 부담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페이코 식권을 이용한 평균 지출 점심 식비는 9,500원으로 확인됐다.

출처 : 뉴스 1

특히 이는 지난 2017년 기록한 6,000원과 비교했을 때 3,500원이 늘어난 수치다. 즉, 평균 지출 점심 식비가 해마다 상승해 왔다는 것이다. 다만, 이 분석은 올해 상반기 전국 페이코 식권 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으며 수도권 내 주요 업무 권역 12곳을 별도로 집계한 지역별 분석 결과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수도권 내 12개 주요 업무 권역 내 지역 간 점심값 격차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직장인 평균 점심값 1위 동네는 삼성동으로 확인됐다. 삼성동은 NHN페이코의 분석 결과 평균 1만 5,000원의 지출 식비를 기록했다.

출처 : 뉴스 1

이에 업계에서는 삼성동에 프리미엄 외식 브랜드와 국내외 대기업 본사가 밀집된 상권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했다. 삼성동의 뒤를 이어 강남이 1만 4,000원, 여의도·서초동이 1만 3,000원, 마곡·판교가 1만 2,000원, 송파·종로가 1만 1,000원, 가산·구로가 1만 원, 강동·동대문이 9,000원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의 주요 업무 권역 평균 지출 식비는 1만 1,583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평균으로 나타난 9,500원보다 2,000원을 더 높은 것이다.

즉, 런치플레이션 현상이 강남, 송파, 종로, 가산, 구로 등 다수 지역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짙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페이코 식권의 사용처는 기존 구내식당 중심에서 벗어나 외부 프랜차이즈와 디지털 플랫폼 전반으로 확장되는 흐름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NHN페이코의 한 관계자는 “직장인들이 자신의 일정과 취향, 식습관에 따라 점심 한 끼를 유연하게 선택하고 있다”라고 해석했다.

출처 : 뉴스 1

한편, 최근 들어 런치플레이션 현상을 체감하는 직장인들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일부 직장인들 사이에서 구내식당을 이용하거나 도시락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밀프렙족’이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밀프렙이란 식사(meal)와 준비(preparation)의 합성어를 말한다.

무섭게 치솟는 물가에 따라 한 끼 지출을 줄이기 위해 구내식당 등을 찾는 직장인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구내식당 역시 물가 상승을 피해 갈 수는 없었다.

출처 : 뉴스 1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구내식당 식사비는 24% 상승했다. 이에 따라 일부 기업에서는 구내식당을 복지로 내세우는 모양새다. 실제로 구내식당 평균 좌석 수는 2021년 84.2석에서 2024년 104.3석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 4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자료다.

즉, 외식 물가 상승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구내식당 이용이 증가하면서 일부 회사들이 복지 차원으로 구내식당 이용을 내세우는 것이다. 이에 급식 업계가 때아닌 호황을 맞았다는 평가가 이어진다. 이는 기업의 식당 위탁 물량 증대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관련 기사

author-img
이시현 기자
lsh@epigraph.co.kr

[이코노미] 랭킹 뉴스

  •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 “삼성전자의 추락” SK하이닉스 무서운 질주에 ‘싹’ 돌변한 현실 이유
    “삼성전자의 추락” SK하이닉스 무서운 질주에 ‘싹’ 돌변한 현실 이유
  •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 "대기업만큼 벌어" 요즘 인기 폭등하고 있다는 직업 정체
    "대기업만큼 벌어" 요즘 인기 폭등하고 있다는 직업 정체
  • “서울은 잘만 오르는데...” 미분양 폭탄에 곡소리 나는 ‘이 지역’
    “서울은 잘만 오르는데...” 미분양 폭탄에 곡소리 나는 ‘이 지역’
  • “어차피 내 집은 없다”... 물량 급증한 청약에도 기쁘지 않은 이유
    “어차피 내 집은 없다”... 물량 급증한 청약에도 기쁘지 않은 이유

추천뉴스

  • 1
    “업계 1위” 세계 최대 사모펀드에 매각된다는 의외의 국내 브랜드

    기획특집 

    “업계 1위” 세계 최대 사모펀드에 매각된다는 의외의 국내 브랜드
  • 2
    “그냥 포기할게요”... 취업률 올라도 한숨 쉬는 청년들, 왜?

    기획특집 

    “그냥 포기할게요”... 취업률 올라도 한숨 쉬는 청년들, 왜?
  • 3
    "모두가 외면했는데"...한 세기 동안 일반인 출입이 금지된 섬 근황

    이슈플러스 

    "교황도 방문했다"…100년의 아픈 역사 간직한 섬
  • 4
    "소비 쿠폰 받아서 여기?" 직장인들의 선호 여행지, 어디냐면...

    라이프 

    "소비 쿠폰 받아서 여기?" 직장인들의 선호 여행지, 어디냐면...
  • 5
    "무조건 투자하세요" 전문가들이 가격 폭등 예고한 '이것', 무엇일까?

    라이프 

    "무조건 투자하세요" 전문가들이 가격 폭등 예고한 '이것', 무엇일까?

지금 뜨는 뉴스

  • 1
    “노키즈존 아니죠” 노인 기피 현상 점점 더 심각해지는 한국 상황

    기획특집 

  • 2
    ‘알짜’ 상권 포기한 롯데백화점...업계도 예상 못 한 놀라운 결단, 이유가?

    이슈플러스 

  • 3
    "대출도 안돼" 서민들은 '서울 아파트' 매매 불가능해졌다, 이유 살펴보니...

    이슈플러스 

  • 4
    “이사갈래요”...귀농·귀촌 인기 폭등에 이재명 정부가 내놓은 대책

    기획특집 

  • 5
    “고삐 풀린 SK텔레콤”…이통사 보조금 전쟁 예고에 소비자는 웃었다

    이슈플러스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