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삼성전자의 추락” SK하이닉스 무서운 질주에 ‘싹’ 돌변한 현실 이유

이시현 기자 조회수  

삼성전자·SK하이닉스 실적
SK하이닉스 맹추격 기조
코스피 상승 일등 공신 변화

출처 : 뉴스 1

최근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서 선두를 다투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2분기 실적 전망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어 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이는 인공지능(AI)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급부상한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에서 삼성전자가 다소 저조한 실적이 예상되는 것과 달리 SK하이닉스에서 분기 최대 실적 경신 가능성이 나왔기 때문이다.

지난달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7월 초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최근 1개월 사이 발표된 증권사 합의(실적 전망)를 집계한 결과 삼성전자의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추정치가 6조 2,759억 원에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뉴스 1

이는 지난해 2분기 기록했던 10조 4,439억 원 대비 39.91% 낮아진 수치다. 이어 전 분기 실적 6조 6,853억 원과 비교했을 때보다도 6.12% 감소한 것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반도체 사업부인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의 부진 지속이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특히 DS부문에서는 파운드리와 시스템LSI(설계)를 포함한 비메모리 부문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어 고부가 제품인 HBM은 아직 실적 기여도가 낮은 상황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의 실적 저조 기조와 달리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의 주도권을 잡았다.

이에 SK하이닉스는 2분기에 최대 실적을 경신할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SK하이닉스의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지난해 2분기보다 63.67% 상승했다. 더하여 전 분기 대비 20.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의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8조 9,503억으로 알려졌다.

출처 : 뉴스 1

또한, 최근에는 9조 원대 영업이익 전망치까지 제기되며 실적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HBM 성과가 메모리 업계의 실적 향방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급부상하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상반된 결과를 얻게 됐다.

이에 따라 2일 올 상반기 코스피 지수가 주요국 증시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SK하이닉스가 가장 큰 기여를 한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반해 코스피 시장 대장주로 꼽히는 삼성전자의 기여도는 낮게 평가받았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코스피 지수 구성 종목의 시가총액(시총)은 총 2,447조 3,500억 원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말 1,905조 8,700억 원보다 28.4%(541조 4,800억 원) 늘어난 결과다. 이에 올 상반기 코스피 지수의 상승률은 주요국(G20) 증시 중 1위를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출처 : 뉴스 1

이 중 SK하이닉스가 코스피 지수 시총 증가분의 16.6%를 차지하며 212조 5,770억 원이 불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AI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HBM을 중심으로 D램 시장 1위에 올라가면서 외국인 매수세가 몰린 영향으로 평가된다.

이에 반해 삼성전자의 시총은 35조 2,080억 원이 증가하는 데 그치며 2위를 기록했다. 이를 시총 증가분을 코스피 지수 내 시총 비중을 고려해 지수 상승 기여도로 도출해 낸 결과 SK하이닉스가 5.9%로 1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기여도 1.8%로, 5위에 그쳤다. 이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쟁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출처 : 뉴스 1

한편, 1일 산업계에서 삼성전자가 컨센서스였던 6조 7,803억 원을 15% 이상 밑돈 5조 원 대 초중반에 그쳤다는 시각이 제기됐다. 이른바 ‘어닝 쇼크’ 시각이 제기되면서 삼성전자가 오는 8일 발표할 잠정 실적 공식 발표에 이목이 쏠린다.

특히 삼성전자는 이달 갤럭시 폴더블폰 신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고, 하반기에 최첨단 반도체인 10나노 6세대 D램(1c D램)을 양산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증권가에서는 2분기 바닥을 다진 뒤 3분기부터 실적이 오름세를 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의 질주를 저지하고 다시금 메모리반도체 업계의 선두 주자 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 기사

author-img
이시현 기자
lsh@epigraph.co.kr

[이코노미] 랭킹 뉴스

  •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50년 만 최대 낙폭" 지위 위협당하고 있다는 '안전자산' 뭐길래?
  •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원래 더 비쌌는데"… 대출 규제에 상황 뒤바뀐 지역, 어디일까?
  • “사먹기 부담스러워요” 직장인 평균 점심값 1위라는 ‘이 동네’
    “사먹기 부담스러워요” 직장인 평균 점심값 1위라는 ‘이 동네’
  • "대기업만큼 벌어" 요즘 인기 폭등하고 있다는 직업 정체
    "대기업만큼 벌어" 요즘 인기 폭등하고 있다는 직업 정체
  • “서울은 잘만 오르는데...” 미분양 폭탄에 곡소리 나는 ‘이 지역’
    “서울은 잘만 오르는데...” 미분양 폭탄에 곡소리 나는 ‘이 지역’
  • “어차피 내 집은 없다”... 물량 급증한 청약에도 기쁘지 않은 이유
    “어차피 내 집은 없다”... 물량 급증한 청약에도 기쁘지 않은 이유

추천뉴스

  • 1
    "문화 강국 되려면..." 정권 바뀌고 '문화예술업계' 분위기가 좋아진 이유

    기획특집 

    "문화 강국 되려면..." 정권 바뀌고 '문화예술업계' 분위기가 좋아진 이유
  • 2
    “업계 1위” 세계 최대 사모펀드에 매각된다는 의외의 국내 브랜드

    기획특집 

    “업계 1위” 세계 최대 사모펀드에 매각된다는 의외의 국내 브랜드
  • 3
    “그냥 포기할게요”... 취업률 올라도 한숨 쉬는 청년들, 왜?

    기획특집 

    “그냥 포기할게요”... 취업률 올라도 한숨 쉬는 청년들, 왜?
  • 4
    "모두가 외면했는데"...한 세기 동안 일반인 출입이 금지된 섬 근황

    이슈플러스 

    "교황도 방문했다"…100년의 아픈 역사 간직한 섬
  • 5
    "소비 쿠폰 받아서 여기?" 직장인들의 선호 여행지, 어디냐면...

    라이프 

    "소비 쿠폰 받아서 여기?" 직장인들의 선호 여행지, 어디냐면...

지금 뜨는 뉴스

  • 1
    "무조건 투자하세요" 전문가들이 가격 폭등 예고한 '이것', 무엇일까?

    라이프 

  • 2
    “노키즈존 아니죠” 노인 기피 현상 점점 더 심각해지는 한국 상황

    기획특집 

  • 3
    ‘알짜’ 상권 포기한 롯데백화점...업계도 예상 못 한 놀라운 결단, 이유가?

    이슈플러스 

  • 4
    "대출도 안돼" 서민들은 '서울 아파트' 매매 불가능해졌다, 이유 살펴보니...

    이슈플러스 

  • 5
    “이사갈래요”...귀농·귀촌 인기 폭등에 이재명 정부가 내놓은 대책

    기획특집 

공유하기

0